본문 바로가기
바다의보물들/바다의 동물들

도미(돔)의 정의,탄생,성장,종류

by goldsea 2023. 11. 6.
반응형

도미(돔)의 정의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채색이 아름다워 '바다의 여왕', '바다의 왕자'라고 불리며, 낚시 대상어로도 인기 있는 어종입니다. 맛이 좋아 고급 요리 재료로 사용됩니다. 도미찜으로 유명합니다.

생선(어류)의 일종으로 줄여서 돔이라고도 합니다. 어류 전체를 통칭할 때는 '도미'라고 하지만, 물고기 이름에 사용할 때는 참돔, 붉돔, 황돔, 혹돔, 옥돔, 돌돔, 감성돔, 강담돔, 자리돔, 벵에돔, 긴꼬리벵에돔, 금눈돔, 백미돔, 청돔 등 '돔'이라고 줄여서 호칭합니다.

도미(돔)는 정확히 따지면 참돔, 붉돔, 황돔, 감성돔, 청돔의 5가지 종류만 농어목 도미과로 같은 과의 '도미'이고, 혹돔, 옥돔, 자리돔, 돌돔, 벵에돔 등은 종류가 다릅니다. 가장 좁은 의미의 돔은 참돔을 뜻합니다.

 

지방과 성장 단계에 따라서도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어서, 강원도에서는 도미(道尾, 道味), 돔, 돗도미라 하고, 어린 참돔을 전남에서는 상사리, 제주도에서는 배들래기, 경남에서는 고다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경남에서는 일본어로 붉은 돔이라는 뜻의 아까다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흰살생선의 대표주자. 생선의 왕으로도 불립니다. 굽고, 찌고, 볶고, 삶고, 생으로 먹든 맛이 일품입니다.

 

일본에서는 최고의 회로 인기가 높습니다. 보통 횟집에서 장어와 함께 가장 비싼 생선 중 하나이며, 축제나 고사를 지낼 때 한국의 돼지머리와 같은 역할을 일본에서는 도미가 합니다.

유럽, 특히 지중해 지역에 대량서식하는데, 그리스어와 튀르키예어로 취푸라(Τσιπουρα, Çipura)라고 불리는 도미는 이 지역에서도 생선의 왕 대우를 받습니다. 그리스인이나 튀르키예인이나 생선을 생식하는 풍습은 없기 때문에, 보통 튀기거나 숯불로 구워서 레몬즙을 곁들여 먹습니다.

 

도미 종류는 하나같이 뼈가 억세므로 뼈째 회로 먹을수는 없습니다. 성어가 된 도미는 뼈가 억세어서 칼도 쉽게 들어갈 수 없는 정도입니다. 뼈째회로 먹을 수 있는 생선은 어린 쥐치, 도다리, 혹은 붕장어 등 뼈가 연하고 작은 종류뿐입니다. 

참치나 대방어 등의 붉은살 생선을 싫어하는 경우 도미류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비슷한 생선으로는 역돔이라 불리는 틸라피아가 있으나 도미와는 무관합니다. 도미류는 바다 생선이지만 틸라피아는 담수에서도 살 수 있는 생선입니다. 그냥 생긴 게 비슷할 뿐입니다. 병어돔이라고 불리는 무점매가리 역시 병어나 도미와는 관련이 없으며 오히려 전갱이에 더 가깝습니다.

도미는 꼬리 지느러미 끝 부분이 화실 깃 끝모양인 걸로 틸라피아와 구분이 가능합니다. 틸라피아는 둥근 부채와 비슷한 모양입니다. 점성어는 꼬리 부근에 점 같은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점의 수는 하나에서 여러 개로 개체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탄생과 기원

도미의 산란기는 도미의 종류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참돔인 경우에는 4월에서 6월이며, 산란에 적합한 수온은 15∼17℃입니다. 산란기 동안에는 살이 오르고 무리를 지어 다니며, 밤에는 20~40m 이상의 수심에서 헤엄쳐 다닙니다. 얕은 곳에서 산란하는데, 해질 무렵 암수가 서로 몸통을 누이고 방란, 방정을 합니다. 산란이 끝나면 몸은 야위고 몸 빛깔이 약간 검게 되며, 고기 맛도 떨어집니다.

 

알은 표층에 떠다니며 부화하는데, 부화 후 2주일이 지나면 작은 치어로서 제법 활동을 시작합니다. 해조류 숲에서 플랑크톤을 먹고 자라면서 성장합니다. 성장하면서 점차 새우·게 등이 많은 암초지대로 옮겨가 이것들을 잡아먹고 살면서 성장합니다.

탄생기원설에 대하여서는 현재까지 알려진바가 없습니다.

성장

몸길이 120cm초반, 무게 최대 9 kg 정도까지 성장합니다. 수심 30-150m의 물 흐름이 좋고, 바닥이 암초나 자갈 또는 모래로 된 곳에 서식합니다. 참돔이 살기에 알맞은 온도는 18-20 °C이며 15 °C 이하에서는 먹이를 잘 먹지 않지만, 어린 참돔은 6-7 °C에서도 잘 먹습니다. 수온이 14 °C 이하로 내려가는 늦가을에는 가까운 바다로 오며 이때에는 먹이를 먹지 않습니다. 수온이 올라가는 봄이 되면 어미 참돔은 게·새우·까나리·오징어를 비롯하여 성게·불가사리까지 먹는 포식자가 됩니다. 수명은 20-30년으로, 물고기 중에서는 긴 편입니다. 행운과 복을 불러오는 물고기라 일컫기도 합니다.

 

수심 10∼200m의 바닥 기복이 심한 암초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겨울잠을 자고 봄이 되면 서해안과 중국 연안으로 이동합니다. 잡식성으로서 새우나 갯지렁이, 어류 등을 주로 먹습니다.

최대 몸길이 120cm 내외로 암컷보다 수컷의 성장이 빠릅니다. 몸은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은 빗 모양의 직사각형 비늘로 덮여 있습니다. 몸 등 쪽은 붉은색을 띠며 배 쪽은 노란색 또는 흰색을 띱니다. 측선 주위로 푸른빛의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습니다. 어릴 때에는 선홍색 바탕에 5줄의 짙은 붉은색의 띠를 갖고 있으나 성장함에 따라 없어지며, 나이를 먹으면 검은빛이 짙어집니다.

종 류

감성돔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성전환을 하며, 시각, 청각, 후각이 예민합니다. 낚시 대상어로 인기 있는 어종입니다.

도미류 중에서 가장 검은 빛을 띠고 있기 때문에, 《자산어보》에는 흑조, 일본에서는 '검은돔'이란 뜻의 구로다이로 불립니다. 성어가 된 감성돔을 전남에서는 감상어, 경북에서는 감성도미, 부산에서는 감셍이, 제주에서는 구릿이라고 부르며, 어린 감성돔의 경우, 강원도에서는 감성돔, 경북에서는 뺑철이, 전남에서는 비돔, 비드락, 서해안 지방에서는 비디미, 배디미, 남해안 지방에서는 살감싱이, 똥감생이, 제주에서는 뱃돔이라고 불립니다.

 

몸길이 약 30~50cm로, 몸은 타원형이며 등쪽이 약간 높습니다. 빗모양의 비늘로 덮여 있으며, 등 쪽은 금속광택을 띤 회흑색이고, 배 쪽 부분은 연합니다. 옆구리에는 세로로 그어진 가늘고 불분명한 선이 있습니다.

 

바닥에 해조류가 있고 모래질이나 암초로 된 수심 50m 이내의 연안에 주로 서식합니다. 바닷물과 민물이 섞여 있는 강어귀 등에서 발견되기도 하며, 어린 고기는 갯벌의 물이 괴어 있는 곳에도 들어갑니다. 정착하여 생활하기도 하고,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무리도 있지만 큰 이동은 없으며, 겨울철에 깊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잡식성으로서 조개류, 갯지렁이 등을 먹습니다. 산란기는 4∼6월이며 바닥이 자갈, 펄, 모래 등으로 해저지형이 비교적 복잡한 곳에 알을 낳습니다. 성전환을 하는 물고기로서, 1년생의 경우 대부분 수컷이지만, 이후 암수한몸이었다가 4∼5년생부터는 암수로 완전히 분리되며 대부분이 암컷으로 성전환합니다.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 동중국해 등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돌 돔

이칭/별칭 이시다이 (イシダイ)(일본어명), 청돔, 아홉동가리, 갓돔, 물톳, 시마다이, 줄돔, 벤찌, 갯돔(방언) 돌밭, 즉 바다 밑 해초가 무성한 암초지대에서 살기 때문에 돌돔이라고 불립니다. 충남에서는 청돔, 부산에서는 줄돔, 제주도에서는 물톳, 갓돔, 울릉도에서는 벤찌라고 부르며, 어린 돌돔은 경남에서 아홉동가리라고 불립니다.

 

몸길이는 40cm 이상으로,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긴 타원형으로 몸높이가 높습니다. 몸빛깔은 청흑색으로 옆구리에 7개의 뚜렷한 검은색 세로띠가 있으며, 암컷의 경우에는 줄무늬가 계속 유지되지만 수컷은 자라면서 줄무늬가 사라져 전체적인 몸색깔이 은회색을 띤 청흑색이 되고, 주둥이 부분만 검은색을 유지합니다. 주위의 환경과 먹이에 따라 몸색깔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몸색깔만 가지고 정확히 암수의 구별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양 턱의 이빨은 새의 부리모양이며, 몸에는 빗모양의 작은 비늘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연안성 어류로서 어릴 때에는 떠다니는 해조류 그늘 아래에서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자라며, 어느 정도 성장하면 연안의 암초지대의 물 밑바닥으로 내려가 생활합니다. 잡식성으로서 해조류 등도 먹으며 갑각류, 성게류 등을 이빨로 깨물어 속살을 빨아먹습니다. 산란기는 5∼8월경이며, 해질 무렵 연안에서 알을 낳습니다.

 

낚시로 주로 잡으며, 온대성 어류로서 연안 수온이 20℃ 이상으로 상승하는 6~7월부터 장마철 전후에 바람이 불고 비나 안개가 많을 때 많이 수확됩니다. 이빨이 강하며, 시력이 좋고 경계심이 강하여 낚시하기 까다로운 어종입니다. 양식을 하기도 합니다. 살이 단단하고 맛이 독특하여 생선회, 소금구이, 매운탕으로도 최고급에 속하며, 창자 또한 진미로 알려져 있습니다. 여름에 가장 맛이 좋습니다.

 

청 돔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몸길이 약 40cm입니다. 몸은 타원형으로 등의 외곽이 올라와 있습니다. 몸빛깔은 회청색이며,배 부분은 연한 빛깔을 띠고 있습니다. 옆구리의 각 비늘 중앙부에 회황색 반점이 있고 그 반점이 앞뒤로 연속되어 많은 세로줄의 띠를 이루고 있습니다. 배지느러미는 노란색입니다.

 

연안성 어류로 때로는 내만에 들어오기도 합니다. 산란기는 늦은 봄입니다. 육식으로서 조개류·갑각류 등을 잡아먹습니다. 한국(부산), 일본, 타이완, 중국, 필리핀, 동인도제도, 홍해,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캘리포니아 등지의 연해에 널리 분포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고급어종으로 유명하지만 한국에서는 친숙하지 않은 돔입니다..

 

참 돔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채색이 아름다워 '바다의 여왕', '바다의 왕자'라고 불리며, 낚시 대상어로도 인기 있는 어종입니다. 맛이 좋아 고급 요리 재료로 치며, 도미찜으로 유명합니다.

분포지역은  동남아시아, 타이완, 남중국해, 일본, 한국 연근해 등 북서태평양의 아열대 해역 인근지역입니다.

 

색채가 아름답고, 모양새가 잘 짜여 있다고 하여 '참(眞)' 자를 붙여 예로부터 참돔, 참 도미, 진도미어(眞道味魚)로 불립니다. 지방과 성장 단계에 따라서도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어서, 강원도에서는 도미(道尾, 道味), 돔, 돗도미라 하고, 어린 참돔을 전남에서는 상사리, 제주도에서는 배들래기, 경남에서는 고다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경남에서는 일본어로 붉은 돔이라는 뜻의 아까다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성체까지 자라면 최대 몸길이 120cm대 초반에 무게는 9kg대 정도까지도 자리는 중형 어류로, 도미과 어류중에서 가장 크게 자라는 종입니다. 암컷보다 수컷의 성장이 빠릅니다. 몸은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하며, 몸은 빗 모양의 직사각형 비늘로 덮여 있습니다. 몸 등 쪽은 붉은색을 띠며 배 쪽은 노란색 또는 흰색을 띱니다. 측선 주위로 푸른빛의 작은 반점이 흩어져 있습니다. 어릴 때에는 선홍색 바탕에 5줄의 짙은 붉은색의 띠를 갖고 있으나 성장함에 따라 없어지며, 나이를 먹으면 검은빛이 짙어집니다.

 

수심 10∼200m의 바닥 기복이 심한 암초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제주도 남방 해역에서 겨울잠을 자고 봄이 되면 서해안과 중국 연안으로 이동합니다. 잡식성으로서 새우나 갯지렁이, 어류 등을 주로 먹습니다. 산란기는 4∼6월이며, 산란에 적합한 수온은 15∼17℃입니다. 산란기 동안에는 살이 오르고 무리를 지어 다니며, 밤에는 20~40m 이상의 수심에서 헤엄쳐 다닙니다. 겨울부터 봄까지가 제철이며, 도미찜으로 유명합니다.

 

붉 돔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최대 몸길이 40cm-45cm까지 성장합니다. 겉모양은 참돔과 비슷하나 머리꼭대기의 경사면에서 급합니다. 몸은 타원형이고 옆으로 납작합니다. 이빨은 참돔보다 덜 발달하였고 양 턱의 옆에는 어금니가 있습니다. 몸빛깔은 붉은색이지만 배는 연한 빛깔입니다. 아가미뚜껑과 몸 옆구리 부분에는 청록색의 작은 반점들이 많이 흩어져 있으며, 등지느러미막과 아가미막은 선홍색입니다.

성체의 경우는 몸길이 40cm-45cm이며, 이걸 보통 참돔하고 구분하기기가 어렵습니다. 등지느르미 앞쪽이 참돔에 비하여 깁니다.황돔하고도 종종 혼동됩니다.

 

산란기는 9∼12월이고 몸길이 22∼24cm가 되어야 대부분 성숙하고 산란기 동안에 여러 번 산란합니다. 부화한 새끼는 내만의 해조류가 무성한 곳에서 지내다가 좀 더 크면 비교적 연안의 모래나 뻘질에서 생활하고 만 1년 이상 되면 바닥이 자갈이나 암초 지대인 약간 깊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저서성 어류로서 근해의 약간 깊은 곳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어릴 때는 요각류·단각류 등 동물성 부유생물을 먹지만 성어가 되면 갑각류·다모류·오징어류 등을 사냥합니다. 한 줄낚시·주낙·정치망 등으로 어획되며, 특히 여름에 맛이 좋아 생선회·구이·탕 등에 이용합니다. 한국·일본·동중국해·타이완·필리핀 등 서부태평양의 온대 해역에 분포 서식합니다.

 

황돔

 

농어목 도미과의 바닷물고기입니다.

완도, 청산도에서는 옥돔, 남해안 지방에서는 빌전청어, 제주도에서는 벨조쟁이 생선이라고 부릅니다.

몸길이는 약 20cm-40cm로, 몸과 머리는 옆으로 납작하며, 몸높이가 비교적 높습니다. 몸은 전체적으로 붉고 배 쪽은 흽니다.

등지느러미가 연결되는 부분에 3개의 노란색 무늬가 선명하게 나타납니다. 배지느러미는 희고 가슴지느러미는 연한 붉은색을 띠며 나머지 지느러미는 연한 노란색입니다.

참돔과 붉돔하고 가까운 관계에 있는 종이며 종종 이들과 혼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몸길이는 20~40cm 정도로 참돔보다 작은편입니다. 횟감으로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맛은 좋지만 참돔이나 감성돔에는 한 단계 아래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안성 어류로서 수심 50∼250m의 바닥이 진흙이나 모래진흙으로 된 곳에 서식합니다. 여름에는 얕은 곳에 서식하며,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새우, 게 등의 갑각류를 비롯하여 어류, 오징어류를 먹이로 합니다. 수명은 8∼9년이며, 3년생(몸길이 15cm 정도)이면 산란을 시작하여, 1년에 약 8천 개의 알을 낳습니다. 산란기는 1년에 2회로 6월과 11월입니다.

 

한국, 일본 남부, 동중국해, 타이완 등 인도양과 서부태평양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합니다.

주로 바다 밑바닥 모래 속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수심 40m 이상 되는 곳에서 그물의 아랫깃이 해저에 닿도록 한 후 어선으로 그물을 끌어서 수확합니다. 낚시로 잡기도합니다.

육질이 단단하여 주로 회로 먹으며, 발라낸 생선뼈와 머리로는 황돔 맑은탕을 끓이기도 합니다. 겨울에 맛이 일미입니다.

 

기타 돔  종류 

 

갈돔

강담돔

구갈돔

금눈돔

꼬리돔

꼽새돔

눈퉁군펭선

독돔

동갈자돔

동갈퉁돔

두동갈얼게비늘

둥글돔

먹얼게비늘

가시실붉돔

녹줄돔

새눈치

실붉돔

에렌벨지붉돔

카나리아돔

큰눈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