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의 정의
아귀(영어: angler)는 아귀과에 속하는 육식어류입니다. 몸의 길이는 60cm 정도이고, 최대길이는 1m 정도이며, 넓적하고 등은 회갈색, 배는 흰색입니다. 머리 폭이 넓고 몸은 타원형입니다. 입은 크고 입 안에 날카로운 이빨이 있습니다. 입이 크고 흉측한 얼굴 때문에 아귀라고 이름이 붙었습니다. 배 쪽의 테두리에는 수십 개의 수염 모양 돌기가 나 있습니다.
깊은 바다에 살고 있으며 큰 입이 인상적이고, 간 요리와 아귀찜 요리로 유명합니다.
위턱보다 아래턱이 앞으로 나와 있으며, 작은 아가미구멍이 있습니다. 등 지느러미에 낚싯바늘처럼 생긴 촉수가 있어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습니다. 혀 앞쪽은 검은색 바탕에 둥근 노란색 얼룩무늬가 있습니다. 암초성이거나 해조(海藻)가 무성한 수심 100-200m의 바다 밑바닥에서 서식합니다. 산란기는 봄철이며 작은 갑각류나 물고기를 잡아먹는데, 행동이 매우 민첩합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멕시코 등지의 태평양 연해에서 분포 서식합니다.
물컹거리고 맛도 없어 보인다고 잡자마자 버리다 보니 인천에서는 이름까지 물텀벙 또는 물텀벙이로 불렀다고 합니다.
탄생 기원
산란기가 되면 중국 연안의 산란장에서는 수많은 알들이 한천질에 싸여 띠 모양으로 되어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산란기는 봄철이며 알에서 부화한 작은 치어들은 작은 갑각류나 물고기를 잡아먹는데, 행동이 매우 민첩합니다. 대한민국,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멕시코 등지의 태평양 연해에서 분포 서식합니다.
특이하게도 일부 종들은 수컷이 암컷에게 붙어서 기생하여 삽니다. 수컷은 덩치가 암컷보다 매우 작은데 오래 붙어있다 보면 다른 기관들은 퇴화하거나 암컷에게 흡수되고, 오로지 생식기관만이 남아서 정자를 제공하는 기계로 변화되었습니다.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이탈리아 몬테 볼카(Monte Bolca)의 에오세(Eocene)에 지층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입니다.
성 장
수온 17~20℃, 암초성이거나 해조(海藻)가 무성한 수심 100-200m의 바다 밑바닥에서 서식합니다. 우리나라의 서해남부, 남해, 동해남부, 일본의 홋카이도 이남해역, 동중국해, 서태평 양 등에 분포합니다. 산란기는 4-8월로,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어군은 4-5월 경 산란차 중국 연안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산란기가 되면 중국 연안의 산란장에서는 수많은 알들이 한천질에 싸여 띠 모양으로 되어 떠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화력이 매우 강하여, 조기, 병어, 도미, 오징어, 새우 등을 통째로 삼켜서 정말 용해시켜 소화할 수 있다.
아귀는 머리 부분이 절반을 차지하고, 바닥에 가만히 있는 고기라 근육이 꼬리 부분 위주로만 있습니다. 꼬리를 제외하면, 닭모가지랑 비슷한 느낌입니다. 아귀는 바닥 물고기라 수압 차 때문에 올라오면 금방 죽습니다. 활어 아귀를 잘 볼 수 없는 이유입니다. 특정 시기에 얕은 어장으로 올라오는 아귀를 노려 잡는 경우 활어를 볼 수 있습니다.
바다 밑바닥에 있는 건 뭐든 주워 먹는 습성이 있습니다. 간간이 수면 위로 올라와서 새도 잡아먹는다는 말도 있습니다.
아귀 배를 가르면 안에서 아직 소화가 안된 비싼 물고기가 나와서 횡재하거나, 뱃속에서 갈매기가 나오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경상도에선 아귀요리를 만들 때 아귀 뱃속에서 생선이나 오징어 등 여러 소화되지 않은 물고기나 해산물들을 꺼내 아귀 속젓이라고 따로 담그기도 합니다. 실제로 일본의 유튜버 키마구레 쿡이 거대한 아귀를 요리하기 위해 먼저 해변에서 배를 갈랐는데, 얼마나 먹었는지 가자미만 10마리가 나왔고, 심해 둑중개, 눈볼대, 기타 생선 몇 마리에, 심지어 맹독이 있는 검복이 상당한 크기로 2마리나 나왔다고 합니다.
종 류
종에 따라 몸의 길이는 천차만별이라 성체 수컷의 길이가 0.02mm에 불과한 심해 아귀부터 최대길이가 4m에 달하는 대형종까지 있습니다.
일반적인 아귀류를 비롯하여 초롱아귀, 부치, 씬벵이 등을 포함한 전반적인 아귀 무리는 Anglerfish(낚시고기)라고 지칭합니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에서 요리로 쓰는 일반 아귀인 황아귀류는 Monkfish(수도자 고기)라고도 부릅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권 영어에서 많이 쓰는데, 근엄하고 경건해서가 아니라, 마치 가톨릭(천주교) 수사(남성 수도자)가 수도복에 달린 모자(후드)를 뒤집어쓴 것처럼 음침해 보였기 때문입니다.
●요리
아귀는 아귀찜, 아귀탕, 아귀전골 등의 요리에 쓰입니다.
못생긴 외형과 다르게 맛이 좋아 별미로 대접받습니다. 특성은 같은 별미생선인 복어와도 마찬가지로 복어는 아주 미묘하고 은은한 단맛이 있어 즐기기 위해 최소한의 손질만으로 회를 먹지만, 아귀는 그런 맛까지는 없어서 양념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맛이 결정됩니다. 본격적으로 식재료로 여겨진 역사는 길지 않습니다.
아귀는 내장이 또 별미로 유명합니다. 간은 한국에서도 원래 별미 재료로 널리 알려졌고 간 이외에도 위와 창자도 아주 맛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