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다의보물들/바다의 동물들

게의 정의,탄생.기원,성장,종류

by goldsea 2023. 9. 29.
반응형

게의 정의

게는 갑각류 십각목 가운데 단미하목(Brachyura)에 속하는 생물을 통틀어 이릅니다. 집계류(집게하목, Anomurans)를 포함하기도 합니다. 몸은 단단한 껍데기로 덮여 있으며 다리에 관절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바다를 따라 얕은 물에서 삽니다. 전 세계에 약 5,000종이 있고, 한국에는 187종이 알려졌습니다.

 

게는 일반적으로 주로 광물화된 키틴으로 구성된 두꺼운 외골격으로 덮여 있으며 한 쌍의 집게발로 무장되어 있습니다. 게의 크기는 너비가 몇 밀리미터인 완두콩 게부터 다리 길이가 최대 4m(13피트)에 달하는 일본 거미게까지 다양합니다. 왕게와 자기 게 등 비슷한 외양을 가진 다른 여러 갑각류 그룹은 진정한 게는 아니지만 게화(Carcinisation)라는 과정을 통해 실제 게와 유사한 특징을 진화시켰습니다.

 

진연갑아 강

22,000여 종에 이르는 현존하는 거의 모든 연감류를 포함하는 갑각류 중의 아강입니다.

진연갑아 강의 몸마디는 19개(5개의 머리 부분, 8개의 가슴 부분, 6개의 배 부분)로 되어 있습니다. 가슴 쪽 다리는 헤엄치거나 걷는 데 사용합니다. 공통의 조상은 하나의 등딱지를 지녔고, 모든 현존하는 종은 하나를 지니고 있으며 일부 하위 그룹에서는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등딱지의 너비는 1 ~ 5cm이고, 보행다리는 긴 형과 짧은 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크며, 머리와 가슴이 하나의 딱지로 덮여 있습니다. 딱지면은 부드럽고 광택이 있는 것도 있고 크고 작은 과립·돌기·가시·센털·깃꼴털 등으로 덮인 것 등 다양합니다. 머리 부속지(附屬肢)는 제1·제2 더듬이, 큰 턱, 제1·제2 작은 턱이 있으며, 뒤의 세 쌍은 구기로서 입 안에 있습니다.

가슴 부속 지는 제1~제3 턱다리, 집게다리, 제1~제4 보행다리입니다. 턱다리는 구기(口器)에 포함되며, 특히 제3 턱다리는 음식물 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집게다리는 먹이 잡기·투쟁·방어 등에 이용되며 가동지(발가락마디)와 부동지(앞마디)에는 뾰족한 칼 모양 또는 삼각형의 이 또는 어금니 등 습성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발달했습니다.

 

보행다리는 단순한 막대 모양이며 집게다리는 일반적으로 수컷이 크고, 제2차 성징으로서 거대화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컷의 배다리는 두 쌍인데 대부분의 종에서는 제1 배다리가 길어 교미기관이 되며, 제2 배다리는 대단히 짧아 보조기로 작용합니다. 암컷의 배다리는 네 쌍이며, 모두 안다리와 바깥다리로 나뉩니다.

성별 구분으로는 게의 배를 보면 배가운데가 뾰족하면 수컷이고 둥글면 암컷입니다.

탄생과 기원

과학자들은 적어도 백악기 후기부터 많은 수의 게 화석을 발견한 바 있습니다. 게는 절지동물 갑각류에 속하는 무척추동물로 더 세분하면 가재, 새우 등과 함께 십각목(Decapoda)에 속합니다. 절지동물은 고생대 캄브리아기 시절부터 내려오는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십각목의 조상 역시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등 게의 조상 역시 중생대에 등장하게 되는데, 이미 과학자들은 고위도 지역에서 다수의 백악기 게 화석을 발견한 바 있습니다. 아마도 멸종된 화석 게의 종류는 1만 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게의 조상이 중생대에 서식했을 것이란 추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성장

게는 담수 지역, 조간대, 얕은 바다, 수심 4,000 미터의 심해 그리고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서식지가 넓습니다. 일반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간석지에 군생하는 종도 있으며, 구애 행동이 발달한 종도 있습니다. 대부분 자유 생활을 하며 속살이게류 등은 조개류를 비롯한 많은 동물에 붙어 생활합니다.

 

게의 탄생은, 노플리우스 기를 알 속에서 보내고 조에아 유생으로 부화합니다. 조에아 유생은 이마와 등에 가시가 각각 하나씩 있고, 좌우에도 하나씩 곁가시가 있습니다. 주광성을 나타내면서 턱다리의 유영털과 배의 움직임으로 활발하게 운동합니다. 1개월 사이에 2 ~ 5회 탈피하여 게 모양의 메갈로파 유생이 되며, 다시 탈피하여 어린 게가 되어 저 생 생활을 합니다. 담수산인 냇물게류는 직접 발생하므로 유생 기를 갖지 않습니다.

게는 탈피를 하여야 성장이 이루어지는데, 성장해도 소형 종은 1년에 2·3회, 대형 종은 1회 정도 탈피합니다. 또 사고로 잃은 부속지도 탈피 과정에서 재생합니다.

종류

게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는데 단미하목(短尾下目, Brachyura)과 이미하목(異尾下目, Anomurans)입니다. 산호초에 서식하는 어떤 종류는 먹으면 식중독 또는 디스토마에 걸릴 수 있습니다.

게는 많은 나라에서 음식으로서 인기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꽃게와 민꽃게, 영덕게(대게), 방게, 참게 등을 주로 먹습니다. 게는 맛이 좋고 단백질이 풍부하며, 지방이 적어 담백하므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음식입니다.

 

꽃게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 영어: gazami crab, 한국에서는 영어: flower crab)는 꽃게과에 속하는 갑각류입니다.

등딱지 길이 7cm, 폭은 15cm 내외이고 몸빛은 머리와 가슴 부위, 그리고 넷째 다리가 푸른빛을 띤 암자색 바탕에 힘구름무늬가 있어 아름답습니다. 이마에는 양 눈앞가시 사이에 가시가 2개 있으며, 집게다리 긴 마디의 안쪽인 앞모서리에 예리한 가시가 네 개 있습니다. 집게발이 강대하고 멀리 이동도 하며 꽃게의 다리의 개수는 10개입니다.

6~7월에 알을 낳고 얕은 바다의 모래땅에 군서 생활을 합니다. 깊이 2~30m 되는 바다 밑의 모래나 개펄 속에 삽니다.

꽃게는 식용게로 가장 많이 이용되며 한국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언제나 시장에서 볼 수 있습니다.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합니다. 게속살이와 같은 생물은 꽃게를 숙주로 삼아 기생합니다.

한국에서 꽃게의 제철은 암꽃게일 경우 4~6월, 숫꽃게일 경우 9~11월입니다.

 

민꽃게

(학명: Charybdis japonica)는 십각목 꽃게과에 속하는 게입니다. 흔히 돌게 또는 박하지라고 부릅니다. 몸길이 63 mm로 꽃게보다 약간 작습니다. 주로 게장을 담가 먹으며 생김새가 꽃게와 거의 비슷합니다. 게의 갑각은 오목하고 육각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민꽃게의 색깔은 연한 초록색(pale green)에서 올리브 그린(olive green)까지 다양합니다.

민꽃게는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과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등에서 서식합니다.

 

대게

대게(Chionoecetes opilio, 영어: opilio crab 또는 opies)는 대게과에 속하는 게로, 경상북도 영덕군과 울진군에서 많이 발견되어 흔히 울진게로 알려져 있습니다.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큽니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입니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 다리의 마디는 납작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큽니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서식합니다. 한국·일본·캄차카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합니다.

 

방게

방게는 바위게과에 속하며 학명은 Helice tridens입니다. 등딱지의 길이는 30mm, 폭은 35mm가량입니다. 몸은 사각형으로 두툼 두툼하며 다리에 털이 적고 등딱지 면에는 'H' 모양의 홈이 있습니다. 눈 사이 이마는 짧은 혀 모양인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기울었고 앞가장자리가 약간 오목합니다. 몸빛은 암녹색이며 해변에 가까운 강가의 갈대가 나는 흙 속에 삽니다. 한국과 일본, 중국·타이완 등지에 분포합니다.

 

참게

참게(Eriocheir sinensis)는 참게과에 속하는 게입니다.

몸을 감싸고 있는 갑각의 표면은 몹시 융기하였고, 이마에 네 개의 이가 있습니다. 등딱지 길이 50mm, 폭은 61mm로 너비가 길이보다 약간 더 깁니다. 갑각의 옆가장자리에는 눈뒷니를 포함하여 뾰족한 이가 4개 있는데, 뒤로 갈수록 작아져 맨 뒤의 것은 아주 작습니다.

하구 및 바다에 가까운 민물에 서식하는데, 보통은 논두렁이나 논둑에 구멍을 파고 서식합니다. 참게는 번식을 위해 가을에 바다로 내려갑니다. 해변가 바다에서 알을 낳고 몸에 품어 부화시킵니다. 부화한 다음 유생 상태로 민물로 올라와 성장합니다. 참게를 이용한 요리로는 참게매운탕, 참게장, 상하이 따자씨에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